베트남, 홍콩, 태국으로 유기농식품 수출 준비하기 | 서류 번역·공증·아포스티유 | 해썹·HACCP 인증서, 수출허가서, ISO 22000, CE인증서, 수출신고서

  • 2024-07-16 10:32:16
  • 조회수 11447


  • 안녕하세요

    한국통합민원센터입니다.

    오늘은 식품수출 준비 중이신 분들을 대상으로

    관련 정보 및 필요 서류 절차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식품 종류
    건강식품
    유기농식품
    다이어트식품
    비건식품
    슈퍼푸드
    가공식품
    기능성식품
    전통식품
    편의식품
    음료

    이번 시간에는 유기농식품을 주제로 다뤄볼 예정입니다!

    그전에 유기농식품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볼까요?

    <유기농 식품>

    유기농식품이란 화학 비료나 합성 농약, 유전자 변형 생물(GMO)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 순환 과정을 최대한 활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및 이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을 의미합니다.

    생산 및 가공 과정에서 환경 보호와 생태계의 균형을 중시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하네요!

    유기농식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기농식품 특징
    화학 비료, 합성 농약 배제
    자연 비료와 생물학적 방제 방법을 사용
    유전자 변형 금지
    GMO 작물과 이를 원료로 한 제품의 사용을 금지
    환경 보호
    토양 건강, 물 자원 보전, 생물 다양성 등을 중시
    가공 과정
    인공 첨가물, 보존제, 착색제 등을 최소화
    동물 복지
    동물성 유기농 식품의 경우, 동물 복지 기준을 준수

    추가로 유기농식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유기농 인증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인증을 발급합니다.

    유기농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생산, 가공, 유통 모든 과정에서 유기농 기준을 준수해야하니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식품수출시 꼭 필요한 서류 중 하나인 HACCP 인증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ACCP 인증서>

    HACCP은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의 약자로,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의 일종이며

    식품의 생산 및 가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요소를 사전에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말합니다!

    HACCP 시스템은 1960년대에 미국의 NASA와 Pillsbury Company가

    우주비행사를 위한 안전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HACCP 인증서의 주요 원칙에 대해 알아볼까요?

    HACCP 인증서 주요 원칙
    위해 요소 분석(HA)
    식품 생산 과정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
    중요 관리(CCP)
    위해 요소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관리점을 설정
    한계 기준 설정
    각 CCP에서 위해 요소가 통제되는 한계 기준을 설정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CCP에서 한계 기준이 준수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수정 조치
    한계 기준을 벗어날 경우, 적절한 수정 조치를 취함
    검증 절차
    HACCP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검증
    기록 유지
    모든 절차와 모니터링 결과를 문서화하고 기록을 유지

    HACCP인증을 받은 제품은

    소비자에게 안정성을 보장하고,

    많은 국가에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성이 높습니다

    HACCP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식품 생산 및 가공 업체가 HACCP 시스템을 도입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인증 기관의 심사를 통해 확인 받아야 하는데요~!

    한국에서는 식약처(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HACCP 인증을 관리합니다. 

    다음은 식품 수출 시 준비해야 할 서류 목록입니다.

    식품수출 서류 목록
    위생검사증명서
    ISO 14001
    신뢰성 테스트 보고서
    해썹인증서
    ISO 9001
    환경 시험 보고서
    HACCP인증서
    ISO 45001
    재활용 가능성 평가 보고서
    상업송장
    시험 성적서
    기술 파일
    포장명세서
    표준 운영 절차서
    OHSAS 18001
    원산지증명서
    품질 검사 절차서
    AEO 인증서
    수출신고서
    CE 인증서
    KAS 인증서
    검역증명서
    RoHS 인증서
    ISO
    수출허가서
    REACH 인증서
    보험증권
    화학물질정보시스템
    KC 인증서
    선하증권
    ISO 22000
    CCC 인증서
    자유판매증명서
    성능 테스트 보고서

    식품 수출 시 필요한 서류 목록은

    수출국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서류 리스트는 수출국을 통해 문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식품 수출 시 필요한 서류들을 확인했다면

    이후 수출국에 서류 제출을 위한 인증 절차가 필요한데요!

    이 경우 수출 서류 번역 및 공증, 아포스티유 전문

    한국통합민원센터를 이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온라인 및 전화 상담을 통해

    식품 수출 시 필요한 서류에 대해

    인증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하단에는 저희 한국통합민원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한 번 읽어보시고 필요한 서비스가 있으면

    편하게 문의주세요!

    한국통합민원센터 제공 서비스
    식품수출중국번역
    식품수출싱가포르번역
    식품수출필리핀공증
    식품수출미국번역
    식품수출대만번역
    식품수출인도네시아공증
    식품수출일본번역
    식품수출멕시코번역
    식품수출말레이시아공증
    식품수출베트남번역
    식품수출브라질번역
    식품수출캐나다공증